본문 바로가기

가끔 멀리 떠날때

장항선 답사踏寫 pt.1 [20071123] - (2) 선장역에 가다 2편은 사진 순서가 약간 뒤죽박죽일 수 있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함이니, 너그러운 마음으로 봐 주셨으면 합니다. 이 여행기는 결국 S04 하나로만 구성하게 되는군요. 2007. 11. 28. Korsonic. 장항선 답사踏寫 Part 1. (2) 선장역에 가다 S04. 선장역에 가다 토비스 콘도 앞에서 내린 우리는 반대편으로 걷기 시작했다.우리가 버스를 타고 들어왔던 길은 아산, 예산 방면(21번 국도)으로 통하는 길이었다. 그러니까, KT연수원 전 정류장에서 내렸으면 그대로 직진하면 되었다는 것이다. 참고로 말하자면, 실제로 교차로의 모양은 Y자에 조금 더 가까웠다. 그리고 다리를 건너지 않는 쪽이 선장역 가는 방향이다. (개인적으로는 레이딘경의 여행기에서 지도설명이 가장 잘 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한.. 더보기
장항선 답사踏寫 pt.1 [20071123] - (1) 꼭두새벽부터의 발걸음 이번 장항선 답사 여행기는 이제까지 구성했던 다른 여행기와는 조금 다른 구성을 짜 보았습니다. 일단은, 각 역에 대한 답사였던 만큼 역의 정보도 추가하기 위해서 "내일로 프로젝트"의 구성을 따르도록 짜여졌습니다. 대부분의 역들은 여행기에서 별도의 장으로 구성하였지만, 사진이 상당히 많고, 여행기를 길어지게 만들 우려가 있는 역(아산, 온양온천)에 대한 소개는 그 역에서 찍은 사진들을 따로 정리한 링크를 달게 되었습니다. 지금은 "철도" 카테고리로 가겠지만, 나중에는 "역" 카테고리로 가겠지요. 지금 제가 파일로 보유하고 있는 사진의 수도 상당히 적습니다. 실상 지금 여기서 글을 쓰고 있는 11월 27일 현재, 필름스캔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필름 7통(전부 Fuji Superia 400/24)이.. 더보기
장항선 답사踏寫 pt.1 [20071123] - 2일 전에 올려보는 계획 한국의 곡선을 자랑했던 장항선이 이설됩니다. 신창 - 신례원, 주포 - 남포 구간은 12월 3일, 신장항 - 신군산 구간은 12월 21일로 이설 공고가 났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번에 사라지는 구 선로들의 흔적을 사진으로 남기기 위해서, 그리고 많이 사라져 버린 듯한 철도동호인으로서의 감각도 되찾기 위해서 지인들과 함께 답사를 가기로 했습니다. (요새 하는 짓이라고는 학교 생활과 디시폐인질밖에 없었기 때문에, 진짜 막장도 이런 막장이 어디 있나 싶을 정도의 상태입니다...) 저는 일단 23일 당일의 계획을 이렇게 짜 놓았습니다. #332 (대전 06:20 → 천안아산 06:41) → #1551 (아산 06:52 → 온양온천 07:02) 온양온천역 → 학성역 (버스로 이동) 학성역 → 선장역 (도보로 이동).. 더보기
Railro Project 2007 : Epilogue 내일로 티켓 이벤트까지 모두 종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에필로그를 올리지 않은 바보같은 코소. 덕택에 에필로그를 지금에서야 올린다. 에필로그에 대해서 정리해 둔 파일은 분명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제서야 업로드한다니, 정말 우습지 않은가. 이용 열차, 그리고 이동거리 정리 (최종) Day 1 : \34,600 / 390.0km #1422 (서대전 06:27 → 천안 07:19) \3,700 / 70.7km #1151 (천안 07:45 → 장항 10:14) \13,200 / 142.7km #1111 (익산 12:46 → 광주 13:59) \10,200 / 109.8km #1103 (송정리 20:54 → 목포 21:42) \7,500 / 66.8km Day 2 : \42,300 / 722.8km #1.. 더보기
Railro Project 2007 : Day 7 (20070810) - 완결 Day 7 S34. 서울로, 서울로, 마지막을 향해... #106 (구포 06:13 → 서울 08:55) \23,700 / 392.0km (내일로티켓과 별도) PC방에 들어간 우리들은 밤새워 게임...을 하고 싶었지만 그것은 애초에 불가능한 일이었다. 둘 다 야구를 좋아하니 마구마구를 하는데, 중간에 내가 필름이 끊겼다. 그대로 잠들어 버린 것이다-_-;; 치요아범과 마구마구 대결을 하고 있는데 내가 갑자기 잠들었고, 그 녀석은 날 깨우려 해도 내가 일어나지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 1시간쯤 자 버렸다. 일어나 보니 치요아범은 웹툰을 보고 있다. 나도 인터넷으로 동호회를 들어가 보고, 뉴스도 보고 했는데 옆을 보니 치요아범도 갑자기 잠든다. -_-;; 그러다가 PC방 정액을 끊은 6시간이 끝났고, 우리는 .. 더보기
Railro Project 2007 : Day 6 (20070809) Day 6 S29. #1601 (청량리 07:00 → 안동 12:12) \12,200 / 255.1km 06시에 일어났다. 일어나서 씻고 옷 입고 짐 정리하고 바로 왕십리에서 전철로 한 역 거리인 청량리역에 갔다. 아침을 먹지 못한지라 토스트를 하나 사고 열차에 오른다. 열차는 완행이다. 그저 완행이다. 사실 6월 1일 시각표 개정으로 정차역이 많이 줄어 버린 완행이기는 하지만. 완행이라 어르신 분들의 승차가 많을 줄 알았는데 너무 이른 시각이라서 그랬던 걸까. 열차를 타기 직전에 안동까지 전체 구간의 잔여석을 조회해 봤는데, 260석이 넘는다. (열차가 5량이다. 고로 좌석 물량은 총 360석.) 뭐야. 이거 너무 널럴하잖아. 실제로 열차에 들어가서도 2호차와 3호차 쪽에나 승객이 많지, 그 다음 차들.. 더보기
Railro Project 2007 : Day 5 (20070808) ※ 빡센 일정상 5일차 여행기를 6일차에 업로드할 수 없으리라 판단하여 예약 포스팅으로 업로드합니다. Day 5 S26. K1506 동두천급행을 타자! 집에서는 05시에 일어났다. 05시에 일어나서 목욕하고, 식사하고, 제대로 보지 못했던 인터넷도 보고 이리저리 뒹굴다가 07시 10분이 되어서야 집을 나섰다. 중곡역으로 걸어가 지하철을 탔는데, 평소 때의 미어터지는 7호선과는 반대 방향으로 편하게 올라와서 도봉산에 닿았다. 이런 날씨 속에서 도대체 어떻게 사진이 제대로 나올지 원. 그 상황에서 전광판을 지켜보니 이번 열차가 동두천 급행이다. 이제까지 이 열차를 타 본 적이 없어서 나는 속으로 만세를 불렀다. 그런데... 이때쯤 오는 치요아범의 문자. “나 이제 일어났어. 이번 거는 포기할게.” ...미치.. 더보기
Railro Project 2007 : Day 4 (20070807) Day 4 S21. #1685 (영주 06:05 → 강릉 10:28) \9,900 / 193.6km 05시에 기상. 또 다시 샤워를 하고는 찜질방을 나와 역으로 갔다. 전날 내일로 패스를 이용해 대구에서 강릉으로 간다는 여학생 3명도 역에서 기다리고 있었다. 개표 안내방송이 나오고 영동선 열차가 기다리는 6번 플랫폼을 향해 갔는데... 에엣?! 2량짜리 열차였다. 이런 녀석은 정말이지 처음이었다. 예전에 영주역에서 영주발 태백선 경유 제천행을 보았을 때에는 그럴 만 하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강릉 가는 열차도 2량이라니. 여느 때처럼 맨 뒷 칸 맨 뒤에 자리를 잡으려고 갔는데, 이미 평상복 차림의 사람들이 자리를 잡고 있었다. 그러고 보니 이 차는 경북북부지사의 직원 통근용 열차로도 사용된다는 것을 잊고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