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 7
S34. 서울로, 서울로, 마지막을 향해...
#106 (구포 06:13 → 서울 08:55) \23,700 / 392.0km (내일로티켓과 별도)
PC방에 들어간 우리들은 밤새워 게임...을 하고 싶었지만 그것은 애초에 불가능한 일이었다. 둘 다 야구를 좋아하니 마구마구를 하는데, 중간에 내가 필름이 끊겼다. 그대로 잠들어 버린 것이다-_-;; 치요아범과 마구마구 대결을 하고 있는데 내가 갑자기 잠들었고, 그 녀석은 날 깨우려 해도 내가 일어나지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 1시간쯤 자 버렸다. 일어나 보니 치요아범은 웹툰을 보고 있다. 나도 인터넷으로 동호회를 들어가 보고, 뉴스도 보고 했는데 옆을 보니 치요아범도 갑자기 잠든다. -_-;; 그러다가 PC방 정액을 끊은 6시간이 끝났고, 우리는 PC방을 나와 거리로 향했다.
서면의 거리는 더웠다. 어두워서 사진도 찍기 뭐했다. 돌아다니는 몇 커플들 외에는 사람을 찾기도 그렇게 쉽지 않았다. 그런 상황에서 우리는 지하도를 이리저리 가로질러 서면 롯데백화점 맞은편에 있는 버스 정류장까지 갔다. 도착해 보니 4시 40분경. (1호선 통로도 아직 열려 있지 않은 등의 이유로 인해 지하도를 두 번이나 오르락내리락 해야 했다. 2호선은 통로 일부가 열려 있더라.) 새벽 4시경의 버스 정류장에도 사람이 꽤 있고 해서 우리는 그곳에서 구포 가는 버스를 기다려 보기로 했다. 구포 가는 노선을 찾아보니 33번이 나온다. 시간이 조금 흐르자, 33번이 나타났다. 카드를 찍고 앉아서 가는데, 역시 새벽이어서 그런 것이었는지는 몰라도 겨우 20분 걸려 구포에 도착했다! 도착해 보니 05시 20분.
구포역에 도착해서 바로 식사를 하기에는 시간이 너무 일러서 지하철 3호선 구포역 전망대에 한번 가 보기로 했다.
흐린 새벽. 그리고 사진. 멋있었다.
나도 한 방 찍었다.
몇몇은 내가 어떻게 KTX를 타게 되었고, 또 어떻게 그렇게 싸게 갔냐고 말할지 모르겠다. KTX 탑승은 내일로 티켓으로는 할 수 없지만, 별도로 표를 끊게 되면 할 수 있게 된다. 우리는 예전에 받아 두었던 50% 할인권을 사용하고, 또 역방향 좌석으로 예매를 하여 23,700원이라는 가격에 표를 구매할 수 있었다.
여튼, KTX. 아주 이른 시간에 출발하는데도 사람들이 많았다.
우리가 자고 있어도 열차는 간다. 열차는 어느 새 서울역에 도착했다.
S35. 여행의 마지막, 도라산에 가자
#1071 (서울 09:25 → 도라산 11:10) \2,000 / 55.7km
#1074 (도라산 12:25 → 임진강 12:30) \1,000 / 3.7km
#2020 (임진강 12:50 → 서울 14:16) \1,400 / 52.0km
여행의 마지막은 당연히 무언가 미래 지향적으로 채워야 한다는 생각에 우리는 여행의 대미를 장식할 장소로 경의선을 택했다. 서울에서 도라산으로 바로 들어가는 열차는 새마을 #1071뿐이었고, 그 때문에 우리는 새벽부터 KTX를 타고 서울로 올라오게 된 것이었다.
예전부터 유명했던 ‘DMZ의 맑은 공기를 수송하는’ 일명 ‘임진강 라이너’로 불렸던 #1071~#1074가 운행계통이 완전히 변경되었기 때문에 이런 사태가 생긴 것. 이제는 #1071로 도라산까지 들어갔다가, 도라산-임진강 셔틀열차 역할을 3번 반복한 후에 #1078로 도라산에서 바로 서울로 들어오는 열차가 되었다. 이젠 정말로 DMZ에 들어가는 것이다.
도라산 라이너.
임진강 라이너 시절에는 서울에 ‘수이’라고 쓰여져 있었으나, 이제는 지워져 있다. 이게 바람직해 보인다. 임진강 라이너 시절이 궁금하다면 http://www.withKTX.net/8 참조.
하지만 이런 경치도 나온다. 아마 월롱쯤이었을 듯.
이정표에 ‘판문점’도 보인다. 하지만 열차는 판문점으로 가지 않는다. 한 번쯤 가 보고는 싶은데...
열차가 임진강역에 도착했다. 여기서 30분 가량을 쉬어 간다. 그 사이 통근열차가 출발하기 때문에, 이 열차는 잠시 측선으로 들어가기도 한다.
탑승 수속을 받고, 우리는 열차에 다시 올랐다. 이제는 1호차에 사람들이 좀 들어온다. 이제 그냥 아무 자리나 타도 된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일까. 도라산을 향해 열차 출발. 하지만 임진강역을 출발하자 만나게 되는 임진강 철교에서 우리는 경악했다.
도라산역에 도착했다.
도라산역 역명판과 미국 부시 대통령의 방문 사진. 한국철도공사에서 공식 사명을 ‘코레일’로 변경한 이후 사진이 바뀌었다.
여기엔 발권기가 없다. 다만 남북철도연결 시험운행 때 열차의 꽃장식이 있고, 스탬프 찍는 곳이 있고, 입장권을 요구하면 엽서와 함께 별도 종이인 입장권을 줄 뿐이다. 하지만 입장권으로 역 구내에 들어가려고 헌병에게 입장권을 보여 주니, “이거 없어도 들어갈 수 있습니다” (.........)
타는 곳은 그냥 “평양 방면”이라고 되어 있다. 그리고 옆의 전광판은 새마을 열차의 시각표를 표시하기도 하면서 “국내선”이라고 써 놓았다. 그렇다. 여긴 국제역이다.
도라산역의 외부. 도라산역 연계 안보관광을 하지 않는 사람이 도라산역 바깥으로 나갈 경우, 안에서 나간 사람이 보이는 위치까지밖에 나갈 수 없다. 내 디카가 시야각이 상당히 좋았다면 좋았을 텐데. 이게 한계다. 쩝.
국제선 쪽에서 도라산역사를 바라봤다.
도라산 역명판을 잡고 사진도 한 방.
국제선 쪽 플랫폼에서 북쪽을 바라보며. 정지 표시판이 조금 독특하게 생겼다.
컨셉샷. 새마을을 바라보면서.
북에서 화물차가 내려온다. 아. 북녘은 어떤 모습일까.
도라산, 그리고 Railro Project 깃발.
문산에서 교행 대기중에.
== Epilogue에서 계속됩니다. 일단 여행기는 여기까지입니다만, 내일로 콘테스트가 종료된 후 Epilogue를 업로드하겠습니다. Epilogue에는 이제까지 여행에 대한 대략적인 정리가 올라갈 예정입니다. ==
'가끔 멀리 떠날때 > 2007 Railro'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ilro Project 2007 : Epilogue (2) | 2007.10.24 |
---|---|
Railro Project 2007 : Day 6 (20070809) (2) | 2007.08.10 |
Railro Project 2007 : Day 5 (20070808) (4) | 2007.08.09 |
Railro Project 2007 : Day 4 (20070807) (1) | 2007.08.08 |
Railro Project 2007 : Day 3 (20070806) (3) | 2007.08.07 |